보고서 요약

최근 국제유가 약세 배경 및 전망

Oren73 2018. 11. 26. 21:58

* 한국은행의 해외경제 포커스 2018-45호 내용입니다.


최근 국제유가 약세 배경은 크게 3가지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


1) 주요 산유국 증산

2)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

3)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 제기



1) 주요 산유국 증산

- OPEC 6월 감산 완화결정 이후 사우디 및 러시아 생산량 빠르게 증가, 미국의 세일오일 생산량 지속 증가

- 글로벌 원유공급 증가세 확대된 반면, 수요는 계절적 요인으로 감소: 9월 이후 원유시장 초과 공급 상태로 전환


2)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

- 미국의 대이란 제재 관련 공급 차질 우려 일시적 완화

- 일부 이란산 원유수입국을 제재 대상에서 한시적으로 제외: 중국 인도, 한국 등 8개국(17년 이란 원유수출의 84%를 차지)을 6개월간 한시적으로 이란산 원유수입 허용


3)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

- 중국 경제지표 부진, 신흥국 금융불안 등으로 원유수요 둔화 가능성 우려 확대

- 경기둔화 우려로 주요국 주가 하락 및 달러화 강세 -> 투자 심리 위축, 원유 선물시장 순매수 규모 크게 축소



향후 전망

- 약세 요인(수요 둔화), 강세 요인(이란 제재 점진적 강화, OPEC 감산 재개 가능성) 등의 혼조로 높은 수준의 변동성 지속 전망

- 주요 기관은 최근 약세에도 불구하고 70달러대 기존 전망 유지: 현재 하락은 과도하며, 초과공급도 완화될 소지가 있다고 판단